SAP CO 인터랙티브 운영 매뉴얼
SAP Controlling 모듈의 핵심 설정 단계를 쉽고 빠르게 학습하세요.
Step 1: 관리 회계 영역 설정 - 기본 데이터
관리 회계 영역은 관리 회계가 발생하는 조직 단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관리 회계 영역의 기본 데이터를 정의합니다. 이는 모든 후속 관리 회계 프로세스의 기초가 됩니다.
메뉴 경로
주요 설정 필드
필드명 | 설명 및 입력값 예시 |
---|---|
Controlling Area | 생성할 관리 회계 영역 코드 (예: 1000) |
Name | 관리 회계 영역의 명칭 (예: IDES AG) |
CoCd->CO Area | 지정 유형: 'Cross-company-code cost accounting' 선택 |
Currency Type | 통화 유형: '10' (Company Code Currency) 선택 |
CChart of Accts | 계정 코드: 'INT' (International) |
FY Variant | 회계 연도 변형: 'K4' (Calendar Year, 4 special periods) |
Step 2: 구성요소 / 제어지표 활성화
이 단계에서는 선택한 관리 회계 영역 내에서 사용할 특정 관리 회계 구성요소를 활성화합니다. 활성화된 구성요소에 따라 관련 기능과 리포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아래 차트는 현재 활성화된 구성요소의 비율을 보여줍니다.
메뉴 경로
활성화 대상
- Cost Centers: 코스트 센터 회계 활성화
- Order Management: 내부 오더 관리 활성화
- Commitment Mgmt: 구매 약정 관리 활성화
- Profit Center Acctg: 수익성 분석 활성화
- Projects: 프로젝트 시스템 연동
체크박스를 선택하여 'Component active' 상태로 변경합니다.
Step 3: 회사 코드 지정
관리 회계 영역에 하나 이상의 회사 코드를 지정합니다. 이를 통해 재무 회계(FI)와 관리 회계(CO)가 통합되어 데이터가 연동됩니다. 여러 회사 코드를 하나의 관리 회계 영역에 지정하여 교차 회사 간 원가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메뉴 경로
작업 절차
- 'New Entries' 버튼 클릭
- 관리 회계 영역에 할당할 회사 코드(들)을 입력합니다. (예: 1000)
- 저장하여 지정을 완료합니다.
핵심 개념
하나의 관리 회계 영역은 동일한 계정과목표와 회계연도 변형을 사용하는 회사 코드들만 포함할 수 있습니다.
Step 4: 관리 회계 영역 세팅
사용자가 특정 관리 회계 영역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기본값을 설정합니다. 이 설정을 통해 매번 관리 회계 영역을 입력할 필요 없이 관련 트랜잭션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메뉴 경로
작업 절차
- T-Code 'OKKS'를 실행합니다.
- 작업할 관리 회계 영역(예: 1000)을 입력합니다.
- 엔터를 눌러 설정을 활성화합니다. 세션 동안 이 관리 회계 영역이 기본값으로 사용됩니다.
Step 5: CO 전표 번호 범위 유지보수
관리 회계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는 전표를 생성하며, 각 전표는 고유한 번호를 가집니다. 이 단계에서는 다양한 CO 거래 유형에 대한 전표 번호 범위를 생성하고 관리합니다.
메뉴 경로
작업 절차
- T-Code 'KANK'를 실행하고 관리 회계 영역을 입력합니다.
- 'Groups' 버튼을 클릭하여 번호 범위 그룹을 관리합니다.
- 'Create' 버튼으로 새 그룹을 생성하거나 기존 그룹을 선택합니다.
- 번호 범위 그룹에 거래 유형(예: 'COIN' - CO Through-posting from FI)을 할당합니다.
- 'Intervals' 버튼으로 실제 번호 범위를 정의합니다. (From Number, To Number)
Step 6: 표준 계층 및 코스트 센터 그룹 생성
코스트 센터들을 구조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최상위 노드인 표준 계층(Standard Hierarchy)을 생성합니다. 모든 코스트 센터는 반드시 이 표준 계층의 한 노드에 속해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특정 목적에 따라 코스트 센터들을 묶는 코스트 센터 그룹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메뉴 경로
작업 절차 (표준 계층)
- T-Code 'OKEON'을 실행하거나 위 메뉴 경로로 이동합니다.
- 관리 회계 영역에 대한 최상위 표준 계층이 아직 없다면 생성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Yes'를 선택하여 생성합니다.
- 생성된 최상위 노드 아래에 하위 코스트 센터 그룹들을 생성하여 계층 구조를 만듭니다.
Step 7: 코스트 센터 생성
코스트 센터는 원가가 발생하는 위치나 부서를 나타내는 조직 단위입니다. 이 단계에서 실제 원가를 집계할 개별 코스트 센터 마스터 데이터를 생성합니다.
메뉴 경로
주요 설정 필드
필드명 | 설명 및 입력값 예시 |
---|---|
Cost Center | 생성할 코스트 센터 코드 (예: 1101) |
Valid from / to | 코스트 센터의 유효 기간 |
Name / Description | 코스트 센터의 명칭 및 설명 (예: Administration) |
Person respons. | 담당자 (예: C.C. Head) |
Cost Center Cat. | 코스트 센터 범주 (예: 'H' - Service cost center) |
Hierarchy area | 이 코스트 센터가 속할 표준 계층의 노드 |
Step 8: 주 코스트 요소(Primary Cost Element) 생성
주 코스트 요소는 FI(재무회계)의 비용 계정(G/L 계정)과 CO(관리회계)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FI에서 비용이 발생하면, 해당 비용 계정에 연결된 주 코스트 요소를 통해 CO의 특정 대상(예: 코스트 센터)으로 원가가 흘러갑니다.
메뉴 경로
작업 절차
- T-Code 'KA01'을 실행합니다.
- FI에서 이미 생성된 비용 계정 번호를 'Cost Element' 필드에 입력합니다.
- 유효 기간을 지정하고 Master Data 탭으로 이동합니다.
- 이름과 설명을 확인하고 'CElem category'를 지정합니다. (예: '01' - Primary costs/cost-reducing revenues)
- 저장하여 생성을 완료합니다.
Step 9: 거래 전기 (Post Transaction)
FI 모듈에서 비용 전표를 입력하여 CO로 실제 원가가 넘어오는지 확인합니다. 비용 계정과 함께 코스트 센터를 지정하면, 해당 금액이 주 코스트 요소를 통해 지정된 코스트 센터의 실적 원가로 집계됩니다.
메뉴 경로
작업 절차
- T-Code 'FB50'을 실행합니다.
- 전표일, 전기일, 통화 등의 헤더 데이터를 입력합니다.
- 차변(Debit) 항목에 비용 G/L 계정과 금액, 그리고 원가를 수신할 'Cost Center'를 입력합니다.
- 대변(Credit) 항목에 상대 계정(예: 현금)과 금액을 입력합니다.
- 금액의 차/대가 일치하는지 확인 후 전표를 전기(Post)합니다.
Step 10: CO 전표 조회
FI에서 전기가 발생하면 FI 전표와 별도로 CO 전표가 생성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생성된 CO 전표를 조회하여 원가가 올바르게 집계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메뉴 경로
조회 방법
- 개별 조회 (T-Code: KSB5): 특정 전표 번호를 알 경우 사용합니다.
- 복수 조회 (T-Code: KSB1): 코스트 센터, 코스트 요소, 기간 등 다양한 조건을 사용하여 관련 전표들을 리스트 형태로 조회합니다. 이 리포트에서 원가의 발생 내역을 상세히 추적할 수 있습니다.
Step 11: 간접비 오더 (Overhead Cost Order)
내부 오더는 특정 작업, 활동, 또는 프로젝트에 대한 원가를 계획, 수집, 정산하기 위한 임시적인 원가 집계 대상입니다. 간접비 오더는 마케팅 캠페인이나 R&D 프로젝트처럼 기간이 정해진 간접비성 활동의 원가를 추적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메뉴 경로 (오더 생성)
주요 프로세스
- 오더 마스터 생성 (KO01): 오더 유형(Order Type)을 선택하고 오더에 대한 설명, 책임 코스트 센터 등을 정의합니다.
- 실제 비용 전기 (FB50 등): 비용 전표 입력 시 코스트 센터 대신 내부 오더 번호를 지정하여 원가를 집계합니다.
- 오더 잔액 확인 (KOB1): 특정 오더에 집계된 원가 내역을 확인합니다.
- 정산 (Settlement - KO88): 월말 또는 프로젝트 종료 시점에 오더에 집계된 원가를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다른 원가 대상(예: 코스트 센터)으로 배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