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ee Accounting Summary

리스 회계 요약

리스 회계 요약

아래 버튼을 클릭하여 언어를 선택하세요.

1. 리스의 정의

리스는 리스제공자(lessor)가 특정 자산의 사용권을 특정 기간 동안 리스이용자(lessee)에게 이전하고, 리스이용자는 그 대가로 사용료를 지급하는 계약입니다. 계약이 리스가 되려면 '식별되는 자산'이 있어야 하고, 리스이용자가 해당 자산의 '사용 통제권'을 가져야 합니다.

2. 리스의 분류: 운용리스 vs 금융리스

리스이용자는 리스 계약 시작 시점에 리스를 '운용리스' 또는 '금융리스'로 분류해야 합니다. 이는 자산 소유에 따른 위험과 효익이 리스이용자에게 실질적으로 이전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입니다. 아래 5가지 기준(OWNES)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금융리스로, 그렇지 않으면 운용리스로 분류합니다.

금융리스 분류 기준 (OWNES)

  • (O) Ownership: 리스 기간 종료 시점에 자산의 소유권이 리스이용자에게 이전되는 경우
  • (W) Written purchase option: 리스이용자가 자산을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이 있고, 그 옵션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
  • (N) Net present value: 리스료의 순현재가치가 자산 공정가치의 거의 대부분(통상 9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 (E) Economic life: 리스 기간이 자산의 경제적 내용연수의 상당 부분(통상 75%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 (S) Specialized asset: 리스 기간 종료 후 리스제공자에게 대체 사용가치가 없을 정도로 특화된 자산인 경우

3. 리스 회계 처리

단기리스(12개월 이하)나 소액자산 리스를 제외한 모든 리스는 재무상태표에 자산(사용권자산)과 부채(리스부채)로 인식해야 합니다.

운용리스 회계처리

  • 재무상태표: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를 인식합니다.
  • 손익계산서: 리스 기간 동안 리스료를 '리스비용'이라는 단일 계정으로 하여 정액법으로 인식합니다. (이자비용과 상각비를 구분하지 않음)

금융리스 회계처리

  • 재무상태표: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를 인식합니다.
  • 손익계산서: 사용권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와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을 각각 별도로 인식합니다. 이로 인해 리스 초기에 비용이 더 많이 인식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재무제표 표시

  • 재무상태표: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를 표시합니다. 금융리스와 운용리스는 구분하여 표시하거나 주석에 공시해야 합니다.
  • 손익계산서: 운용리스는 '리스비용'으로, 금융리스는 '감가상각비'와 '이자비용'으로 표시합니다.
  • 현금흐름표:
    • 운용리스: 리스료 지급액 전체를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합니다.
    • 금융리스: 리스료 지급액 중 이자 부분은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원금 상환 부분은 '재무활동 현금흐름'으로 분류합니다.
COCOMOCPA

Financial Controller / CPA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