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까지 벌면 세금 안 내도 되나요?

얼마까지 벌면 세금 안 내도 되나요?

얼마까지 벌면 세금 안 내도 되나요?

미국에서 얼마까지 벌면 세금 신고를 안 해도 되나요? – 기본 개념 소개

미국 세법에서는 모든 사람이 소득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세금 신고를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연방 정부인 IRS(국세청)는 ‘최소 신고 기준(Minimum Filing Requirement)’이라는 것을 정해두어, 일정 금액 이하의 소득이 있는 경우에는 세금 신고 의무를 면제해 줍니다. 하지만 이 기준은 개인의 상황(결혼 여부, 부양가족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IRS의 '최소 신고 기준 (Minimum Filing Requirement)'이란?

IRS의 최소 신고 기준은 개인의 신분(Filing Status)총 소득(Gross Income) 금액에 따라 결정됩니다. 총 소득은 급여, 자영업 수입, 이자, 배당 등 개인이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한 금액입니다. 이 총 소득이 특정 금액을 넘지 않으면 세금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하지만 이는 세금을 내야 할 의무가 없다는 의미이며,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소득이 적더라도 신고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소득별 신고 의무 기준표 (Single, Married, Dependent 등)

다음은 2024년 기준으로 개인의 신분에 따른 최소 총 소득 신고 기준표입니다. (정확한 금액은 IRS 웹사이트에서 다시 한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신고 신분 (Filing Status) 2024년 총 소득 기준
Single (미혼) $13,850
Married Filing Jointly (부부 공동) $27,700
Qualifying Surviving Spouse (적격 생존 배우자) $27,700
Married Filing Separately (부부 별도) $5
Head of Household (세대주) $20,800

주의: 위 표는 기본적인 총 소득 기준이며, 추가적인 상황(예: 65세 이상, 시각 장애인 등)에 따라 기준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부양가족으로 등록된 경우에는 다른 기준이 적용됩니다.

소득이 적어도 꼭 신고해야 하는 경우 (환급 받을 수 있는 상황)

총 소득이 최소 신고 기준 이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세금 신고를 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세금 원천징수 (Withholding): 급여를 받을 때 이미 세금이 원천징수된 경우, 실제 내야 할 세금보다 더 많이 낸 경우가 많아 신고를 통해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세액 공제 혜택 (Tax Credits): 근로 소득 세액 공제(Earned Income Tax Credit, EITC)나 자녀 세액 공제(Child Tax Credit, CTC) 등 특정 세액 공제 대상에 해당한다면, 소득이 적더라도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영업자/프리랜서의 경우: $400 넘으면 무조건 신고 대상

일반적인 근로자와 달리, 자영업자나 프리랜서의 경우에는 총 순수익(Net Earnings from Self-Employment)이 $400 이상이라면 소득 기준과 관계없이 반드시 세금 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는 자영업 소득에 대한 자영업세(Self-Employment Tax, 주로 사회보장세와 메디케어세)를 납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학생이나 부모에게 부양되는 경우의 소득 기준은?

학생이거나 부모님의 부양가족으로 등록된 경우의 소득 기준은 더욱 복잡합니다. 일반적으로 비근로 소득(이자, 배당 등)과 근로 소득(아르바이트 등)에 대한 별도의 기준이 적용되며, 총 소득이 일정 금액을 넘으면 신고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의 세금 보고 상황과 본인의 소득 종류 및 금액을 정확히 파악하여 신고 의무를 확인해야 합니다.

실제 예시: $10,000 벌었을 때, 세금 내야 하나요?

만약 2024년에 혼자 살고 있으며(Single), 총 소득이 $10,000이라면, 최소 신고 기준인 $13,850에 미치지 못하므로 일반적으로 세금 신고 의무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급여에서 세금이 원천징수되었다면, 세금 신고를 통해 그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득이 적더라도 세금이 이미 납부되었다면 신고를 고려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내 세금 신고 의무, 이렇게 확인하세요!
  • 내 신고 의무 기준은 얼마인가요? 위 표와 IRS 웹사이트를 통해 본인의 신고 신분에 따른 최소 총 소득 기준을 확인하세요.
  • 자영업/1099 수입이 있다면 신고 필수! 자영업으로 $400 이상 벌었다면 소득 기준과 관계없이 신고해야 합니다.
  • 세금 안 내더라도 환급받을 수 있으니 확인 필수! 급여에서 세금이 빠져나갔거나 세액 공제 대상이라면 꼭 세금 보고를 하세요.

세금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기본적인 기준을 이해하면 불필요한 걱정을 줄일 수 있습니다. 혹시 본인의 상황이 복잡하거나 확실하지 않다면, IRS 웹사이트를 참고하거나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COCOMOCPA

Financial Controller / CPA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