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025년, 확 달라지는 1099-K 세금 보고 기준: $600 이상 수령 시 발급
안녕하세요. USTAX 회계사입니다. 오늘은 2025년부터 미국 국세청(IRS)이 본격적으로 시행하는 새로운 1099-K 세금 보고 기준 변경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자영업자, 소상공인뿐만 아니라 온라인 플랫폼을 이용하는 일반 사용자에게도 중요한 내용이니 꼼꼼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무엇이 바뀌나? 기존 기준과의 비교
기존에는 페이팔, 벤모, 캐시앱과 같은 결제 플랫폼 사업자가 특정 사용자에게 1099-K를 발급하기 위한 조건이 비교적 높았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기준에서는 단 한 번의 거래라도 $600을 넘거나, 여러 번의 거래 합계가 $600을 넘으면 1099-K 발급 대상이 됩니다. 이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소규모로라도 꾸준히 수입이 발생하는 많은 개인과 사업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구분 | 기존 기준 (2024년까지) | 변경 기준 (2025년부터) |
---|---|---|
총 거래 금액 | $20,000 초과 | $600 초과 |
총 거래 건수 | 200건 초과 | 제한 없음 |
과세 대상이 되는 수익, 명확히 구분해야 합니다
1099-K는 플랫폼을 통해 발생한 사업 관련 수입을 보고하는 양식입니다. 따라서 모든 $600 이상 거래가 과세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은 과세 대상에 해당하는 수익의 예시입니다.
- 온라인 판매: 이베이, 아마존, Etsy 등에서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한 대금
- 프리랜스 수입: 우버, 리프트 등 플랫폼을 통해 용역을 제공하고 받은 수입
- 콘텐츠 창작 수익: 유튜브, 틱톡 등 플랫폼에서 광고, 후원 등으로 얻은 수입
중고 거래, 가족 간 송금은 어떻게 될까요?
개인적인 거래는 일반적으로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거래는 1099-K 발급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중고 물품 판매: 개인적인 물건을 손실을 보고 판매하는 경우 (예: 사용하던 가구, 옷 등)
- 가족 또는 친구 간 송금: 식비 분담, 생일 선물 등 개인적인 목적으로 송금하는 경우
- 개인적인 비용 환불: 친구에게 빌려준 돈을 돌려받거나, 공동 구매 후 각자 부담금을 정산하는 경우
하지만 플랫폼에 따라 정책이 다를 수 있으므로, 거래 시 명확한 기록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플랫폼에서 해당 거래를 사업 관련 수입으로 오인하여 1099-K를 발급할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세금 신고 시 해당 수입이 과세 대상이 아님을 명확히 소명해야 합니다.
크리에이터, 소상공인, 일반 사용자별 영향 및 사례
새로운 기준은 각 그룹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크리에이터: 유튜브, 틱톡 등에서 콘텐츠를 통해 $600 이상의 광고 수익, 후원 등을 받는 경우 1099-K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전에는 수입이 적어 보고 대상이 아니었던 소규모 크리에이터도 이제 세금 보고 의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사례: 연간 유튜브 광고 수익이 $700인 A씨는 2024년에는 1099-K를 받지 않았지만, 2025년부터는 발급 대상이 됩니다.
- 소상공인: 온라인 쇼핑몰, 배달 앱 등을 통해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연간 $600 이상의 수입을 올리는 사업자는 모두 1099-K 발급 대상입니다. 이는 사업 규모와 관계없이 적용됩니다.
- 사례: Etsy에서 수공예품을 판매하여 연간 $1,000의 수입을 올리는 B씨는 2025년부터 1099-K를 받게 되며, 해당 수입을 세금 보고해야 합니다.
- 일반 사용자: 중고 물품 판매, 개인 간 거래 등을 통해 연간 $600 이상을 받는 경우에도 1099-K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이는 사업 관련 수입이 아닌 개인적인 거래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세금 신고 시 이를 명확히 구분하여 보고해야 합니다.
- 사례: 벤모를 통해 친구들과 식비를 정산하며 연간 $800을 받은 C씨는 1099-K를 받을 수 있지만, 이는 과세 대상 소득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련 증빙을 잘 보관해야 합니다.
1099-K 신고 시 유의사항
- 정확한 수입 및 지출 기록: 사업 관련 수입과 개인적인 거래를 명확히 구분하고, 관련된 모든 수입 및 필요 경비 기록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 1099-K 내용 확인: 1099-K를 받았다면, 보고된 금액이 실제 수입과 일치하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 세무 전문가 상담: 복잡하거나 불확실한 부분이 있다면 반드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세금 보고를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개인 거래 증빙: 중고 거래나 개인 간 송금 등 과세 대상이 아닌 수입에 대해 1099-K를 받은 경우, 해당 거래가 사업과 관련 없는 개인적인 거래임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거래 내역, 메시지 등)를 보관해야 합니다.
새로운 1099-K 기준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리 변경된 내용을 숙지하고 철저히 준비하여 불이익을 당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