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 1042-S 받았나요? 외국인 세금 환급, 이렇게 받으세요! (2025년)

            Form 1042-S 받았나요? 외국인 세금 환급받는 방법 완벽 가이드 (2025년)                

Form 1042-S 받았나요? 외국인 세금 환급받는 방법 완벽 가이드 (2025년)

   

Form 1042-S, 환급 대상인지 먼저 확인하세요!

   

미국 내에서 장학금, 플랫폼 수익 등 소득이 발생한 외국인(Nonresident Alien)은 원천징수된 세금이 기재된 Form 1042-S를 받게 됩니다. 이 Form을 받았다면, 납부한 세금이 과세 기준보다 많은지, 또는 한국-미국 조세조약에 따라 세금 환급 대상에 해당하는지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환급 가능 조건, 언제 해당될까요?

   
           
  • 과세 기준 초과: 미국은 비거주 외국인의 소득에 대해 일정 기준 이상의 금액에 대해 세금을 부과합니다. 만약 Form 1042-S에 기재된 소득 금액이 해당 과세 기준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세금이 원천징수되었다면 환급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2025년의 비거주 외국인 과세 기준은 소득 종류 및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IRS 웹사이트(IRS.gov)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        
  • 조세조약에 따른 면세 또는 낮은 세율 적용: 한국과 미국은 소득세에 대한 조세조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이 조약에 따라 특정 소득(예: 장학금, 특정 연구비 등)에 대해 면세 혜택을 받거나 낮은 세율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Form 1042-S에 조세조약이 적용되지 않고 높은 세율로 원천징수되었다면 환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사례로 이해하는 세금 환급

   

사례 1: 과세 기준 미달로 환급받는 경우

   

한국 국적의 대학원생 김지수 씨는 미국 대학에서 받은 장학금으로 $9,000의 소득이 발생하여 Form 1042-S를 받았습니다. Form에는 $900의 연방 소득세가 원천징수된 것으로 기재되어 있었습니다. 2025년 비거주 외국인 학생의 과세 기준이 $10,000라고 가정했을 때, 김지수 씨의 소득은 과세 기준 미만이므로 원천징수된 $900 전액을 환급 신청할 수 있습니다.

   

사례 2: 조세조약에 따라 환급받는 경우

   

한국 국적의 연구원 박철수 씨는 미국 연구기관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20,000의 급여를 받아 Form 1042-S를 받았습니다. 한-미 조세조약에 따라 특정 연구 활동 소득에 대해 면세 혜택이 주어지는 경우, 박철수 씨는 원천징수된 세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Form 1040NR 작성 시 조세조약 관련 조항을 정확히 명시해야 합니다.

   

외국인 세금 환급 신청, Form 1040NR 작성 핵심 요령

   

세금 환급을 받기 위해서는 비거주 외국인 소득세 신고서인 Form 1040NR을 정확하게 작성하여 IRS에 제출해야 합니다. Form 1040NR은 일반적인 미국 거주자의 세금 보고서인 Form 1040과 다르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Form 1040NR 작성 시 주요 사항:

   
           
  1. 개인 정보: 이름, 주소, 미국 내 체류 기간, 비자 종류 등 개인 정보를 정확하게 기입합니다. 특히 미국 내 주소는 우편물을 받을 수 있는 정확한 주소를 기재해야 합니다.
  2.        
  3. 세금 식별 번호 (Taxpayer Identification Number): 일반적으로 사회보장번호(SSN) 또는 개인 납세자 식별 번호(ITIN)를 기재해야 합니다. ITIN이 없는 경우 Form W-7을 Form 1040NR과 함께 제출하여 ITIN을 신청해야 합니다.
  4.        
  5. 소득 정보: Form 1042-S에 기재된 소득 금액과 원천징수된 세금액을 Form 1040NR의 해당 항목에 정확하게 옮겨 적습니다.
  6.        
  7. 공제 (Deductions): 비거주 외국인은 거주 외국인에 비해 공제 항목이 제한적입니다. 일반적으로 표준 공제(Standard Deduction)는 적용되지 않으며, 특정 항목에 대한 공제만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미국 내에서 발생한 사업 관련 비용 등은 공제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8.        
  9. 세금 및 납부액: 총 세금액을 계산하고, 이미 원천징수된 세금액을 기재합니다. 환급받을 금액이 있다면 해당 항목에 표시합니다.
  10.        
  11. 조세조약 적용 (Treaty Benefits): 한국-미국 조세조약에 따라 면세 또는 낮은 세율을 적용받고자 하는 경우, Form 1040NR의 Schedule OI (Other Information)를 작성하여 관련 조항 번호, 소득 종류, 면세 또는 감면 금액 등을 상세히 기재해야 합니다. 조세조약 관련 자료를 첨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2.    
   

Form 1040NR 작성 시 유용한 자료:

   
           
  • Form 1042-S: 소득 금액 및 원천징수 세액 정보
  •        
  • 여권 및 비자: 미국 내 체류 기간 및 비자 종류 확인
  •        
  • 사회보장카드 (SSN) 또는 ITIN 관련 서류: 세금 식별 번호 확인
  •        
  • 한-미 조세조약: 관련 조항 확인 (주한미국대사관 또는 국세청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
  •        
  • IRS Publication 519 (U.S. Tax Guide for Aliens): 외국인 세금 관련 상세 안내
  •    
   

조세조약,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요?

   

한국-미국 조세조약은 특정 소득에 대해 세금 면제 또는 낮은 세율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Form 1040NR 작성 시 조세조약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을 주의해야 합니다.

   
           
  • 정확한 조세조약 조항 확인: 본인의 소득 종류에 해당하는 조세조약 조항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조세조약은 국세청 웹사이트 또는 주한미국대사관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Form 1040NR Schedule OI 작성: Form 1040NR의 Schedule OI에 조세조약 관련 정보를 상세히 기재해야 합니다. 적용되는 조항 번호, 해당 소득의 종류, 면세 또는 감면받는 금액 등을 명확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        
  • 증빙 서류 준비: 조세조약 적용 자격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예: 장학금 수혜 증명서, 연구 계약서 등)를 Form 1040NR과 함께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세금 환급 절차 및 주의사항

   

Form 1040NR 작성을 완료했다면, 이제 IRS에 제출하고 환급을 기다릴 차례입니다. 다음은 세금 환급 절차와 몇 가지 주의사항입니다.

   

세금 보고서 제출 방법:

   
           
  • 우편 발송: 작성한 Form 1040NR과 관련 서류를 IRS 주소로 우편 발송합니다. IRS 웹사이트에서 비거주 외국인 세금 보고서 발송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등기우편(Certified Mail)을 이용하면 발송 및 도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안전합니다.
  •        
  • 전자 보고 (e-filing): 일부 소프트웨어나 세무 대리인을 통해 Form 1040NR을 전자적으로 제출할 수도 있습니다. 전자 보고는 우편 발송보다 빠르고 정확하며, IRS에서 접수 확인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환급 소요 기간 및 확인 방법:

   

세금 보고서를 제출한 후 환급금을 받기까지는 일반적으로 수 주에서 수개월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IRS 웹사이트의 "Where's My Refund?" 도구를 이용하면 환급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보장번호(SSN) 또는 ITIN, 세금 보고서 제출 상태 등이 필요합니다.

   

주의사항:

   
           
  • 보고 기한 준수: 2025년 세금 보고 기한은 일반적으로 2026년 4월 15일입니다. 기한을 넘기면 벌금 및 이자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 정확한 정보 기입: Form 1040NR에 부정확한 정보를 기입하면 환급이 지연되거나 거부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 기록 보관: 세금 보고서 및 관련 서류(Form 1042-S 사본, 조세조약 관련 문서 등)는 최소 3년 이상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        
  • 전문가 도움 고려: 세금 보고가 복잡하거나 조세조약 적용에 어려움을 느낀다면,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    
   

Form 1042-S를 받으셨다면, 오늘 안내해 드린 정보를 바탕으로 꼼꼼히 준비하셔서 정당한 세금 환급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COCOMOCPA

Financial Controller / CPA

다음 이전